티스토리 뷰
목차
2026년부터 적용될 최저임금이 확정되었습니다.
내년부터는 시간당 10,320원으로, 2025년보다 290원 인상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새롭게 발표된 최저임금을 기준으로 월급, 연봉, 실수령액, 중위소득 대비율까지 하나하나 자세히 정리해드립니다.
💸 2026년 최저시급은 얼마인가요?
2026년도 최저임금은 시급 10,320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이는 2025년의 10,030원에서 290원 오른 수치이며, 인상률은 2.9%로 역대 정부 출범 첫해 기준 최저 수준입니다.
이번 최저임금은 노사 간 큰 이견 속에서도 공익위원 중재안을 중심으로 17년 만에 합의로 결정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 월급·연봉은 얼마일까?



법정 주 40시간 근무 기준으로 주휴수당을 포함한 월 근로시간은 209시간입니다. 이에 따른 월급과 연봉은 아래와 같습니다.
- 🕒 시급: 10,320원
- 📅 일급: 82,560원 (8시간 기준)
- 💵 월급: 2,156,880원 (209시간 기준)
- 📈 연봉: 25,882,560원
최저임금법에 따라 이보다 낮은 급여는 불법이므로, 사업주는 반드시 기준 이상을 지급해야 합니다.
🧾 실수령액은 얼마일까요?
세전 월급이 약 215만 원이라도, 실제로 손에 쥐는 금액은 공제 후 더 적습니다. 주요 공제 항목은 아래와 같으며, 예상 실수령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 소득세: 약 26,770원
- 국민연금: 약 97,050원
- 건강보험: 약 86,360원
- 고용보험: 약 19,410원
- 총 공제액: 약 229,590원
✅ 실수령 월급: 약 1,927,290원 최저임금 기준으로는 여전히 월 200만 원을 넘기 어렵다는 현실을 보여줍니다.
최저시급을 적용하면 내가 실제로 받을 월급을 얼마일까요?
아래 자동계산기 포스팅을 통해 간편하게 계산해보세요!
2026년 최저시급 적용한 내 월급 계산해보기(+계산기)
2026년 최저시급이 결정되었습니다. 내 월급은 얼마인지 자동계산기로 간편하게 계산해보세요!
first.woori8072.co.kr
📈 중위소득과 비교하면?



2026년 1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은 2,392,013원입니다. 최저임금 대비 비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 👤 1인 가구: 90.17%
- 👥 2인 가구: 54.85%
- 👨👩👦 3인 가구: 42.92%
- 👨👩👧👦 4인 가구: 35.37%
가구원이 많아질수록 최저임금만으로 생계를 유지하기 어렵다는 점이 수치로 드러납니다.
🗓️ 실제 적용 시기와 유의사항
2026년 최저임금은 2026년 1월 1일부터 전국 모든 사업장에 적용되며,
2025년 8월 5일까지 고용노동부 고시가 이뤄질 예정입니다.
최저임금 위반 시 사업주는 형사처벌 대상이 될 수 있으므로, 근로계약서 재정비 및 근로자 고지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 누가 영향을 받을까?



2026년 최저임금 인상은 약 2,904천 명의 저임금 근로자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대표적으로:
- 편의점, 카페, 음식점 종사자
- 배달·물류 근로자
- 아르바이트, 단시간·비정규직 근로자
또한 실업급여, 고용보험 등 다양한 복지제도도 최저임금 기준에 따라 연동되므로 인상분에 따라 지급액 변동이 생길 수 있습니다.
📌 연도별 최저임금 인상률 흐름
아래 그래프는 2011년부터 2025년까지의 최저임금과 인상률 추이를 보여줍니다.
2018년 16.4%라는 역대 최고 인상률 이후, 최근에는 1~3%대의 낮은 인상률이 계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2026년 최저임금 인상률 2.9%는 최근 흐름과 비슷한 수준으로, 고물가 속 실질임금 하락 우려도 함께 제기되고 있습니다.
🧮 파트타임 근로자의 주휴수당 계산
주 20시간 일하는 파트타이머도 주휴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계산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20시간 ÷ 40시간) × 8시간 × 10,320원 = 41,280원
👉 주 20시간 일하면 주휴수당은 41,280원입니다. 단,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고 개근한 경우에만 지급됩니다.
📝 마무리하며
최저임금은 단순한 숫자가 아닌 근로자의 삶의 질과 생존권을 보장하는 기준입니다.
시급 10,320원이 마냥 부족해 보일 수도 있지만, 최저임금도 못 받는 근로자 비율이 여전히 높은 현실에서 이를 지키는 것만으로도 큰 변화가 시작됩니다.
혹시 본인의 급여가 최저임금에도 미치지 못한다면, 고용노동부 또는 노동청에 문의하여 권리를 당당히 지켜보세요.
최대 30만원 통신비 지원받는 방법
2025년 통신비 감면제도 총정리!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장애인 대상 월 최대 33,500원 지원. 신청방법부터 감면 금액까지 쉽게 설명해드립니다. 지금 확인하고 통신비 절약하세요!
first.woori8072.co.kr
병원비 환급받는 방법
병원비 걱정된다면 꼭 알아야 할 본인부담상한제! 연간 최대 808만원까지 의료비 환급 가능. 신청 대상부터 절차까지 쉽게 정리했습니다.
first.woori8072.co.kr
자동차세 환급받고 세금 절감하기!
자동차 구매 시 자동 매입된 채권, 5~7년 지나면 돌려받을 수 있어요. 소멸 전에 꼭 조회하고 환급 받으세요—놓치면 손해입니다!
first.woori8072.co.kr
2025 SKT 위약금 면제 대상자 조회 선택약정 인터넷 단말기할부금
2025년 4월 발생한 SK텔레콤 해킹 사고 이후, SKT는 가입자 보호 차원에서 특정 기간 해지 또는 번호이동한 고객에게 위약금을 전액 면제 및 환급하기로 했습니다. 오늘은 환급 신청 방법부터 대상
woori8072.co.kr

































